온라인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는 낯선 마케팅 광고 용어에 대한 정리를 해볼게요.
CPM(Cost Per Mille)
광고에서 1,000회 노출될 때마다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하는 마케팅 용어입니다. 광고주가 광고가 노출될 때마다 비용을 지불하는 디지털 광고 가격 모델 중 하나입니다.
브랜드의 인지도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CPC(Cost Per Click)
CPC는 클릭당 비용입니다. CPC는 디지털 기기 사용자가 유료 온라인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광고주가 지불해야 하는 금액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CPC가 낮을 수록 비용 대비 많은 유입이 있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PA(Cost Per Action)
CPA는 사용자의 액션 (회원가입, 설치 등)을 했을 때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CPI(Cost Per Installation)
설치 당 비용을 과금하는 형태로 광고주 입장에서는 비용 내에서 설치 수를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체사 입장에서는 설치 수를 보장해야 하므로 CPC 광고상품 등에 비해서는 단위당 비용이 큰 편입니다.
CPT (Cost Per Time)
정해진 시간만큼 광고를 노출한 후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특정 시간 대에 인기 있는 음식 관련 광고를 할 때 사용하거나, 특정 시간대에 방문율이 높은 페이지의 경우 적용할 수 있는 광고 방식입니다.
CPS (Cost Per Sale)
CPS는 실제 구매가 발생했을 때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 방식입니다.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모든 고객이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광고비가 다소 높은 편입니다.
CTR(Click through ratio)
광고 클릭률로, 웹페이지에서 광고를 얼마나 클릭했느냐를 의미합니다.
CVR (Conversion Rate)
전환율을 의미합니다. 유입된 고객이 얼마나 매출로 이어졌는지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환’이라는 단어는 A에서 B로 상태가 바뀐다는 의미가 있지요. 광고에서는 어떠한 움직임을 통해서 매출로 연결될 때 전환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ROI(Return On Investment)
온라인 광고에서 광고 비용 대비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광고로 인한 수익을 광고비로 나눈 뒤 100%를 곱합니다 . 수익 창출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ROAS(Return on Ad Spend)
광고 수익률을 뜻하며, 광고에 투자한 비용 대비 매출을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파악하고, 마케팅 예산과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타겟팅 광고(Targeting Advertising)
광고를 할 때에 목적으로 하는 대상이 뚜렷한 광고를 말합니다. 특정 지역, 성별, 연령, 관심사 등을 명확히 한 대상 그룹을 만들어 해당 그룹만을 상대로 진행되는 광고를 말합니다.
리타겟팅 광고(Retargeting Advertising)
인터넷 사용자의 쿠키를 기반으로 관심사를 추적하여, 특정 관심사에 대한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입니다. 보다 세세하게 소비자의 관심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V(Page View)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가 사용자에 의해 표시된 횟수를 의미합니다. 방문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페이지를 본 수를 세는 단위로, 사이트의 장점을 시각화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중복체크하지 않으며, 한 사람이 발생시키는 페이지뷰가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습니다.
UV(Unique Visitor)
순 방문자 수를 뜻하며, 특정 기간 동안 웹사이트를 방문한 개별 사용자의 수를 의미합니다. 마케팅 용어로 고유 방문자라고도 합니다.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 방문해도 한 번으로 계산됩니다.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 성과 지표' 또는 '주요 성과 지표'를 의미합니다. 조직의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로, 개인이나 조직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UI(User Interface)
사람과 사물 또는 시스템, 특히 기계, 컴퓨터 프로그램 등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를 뜻합니다. 즉, UI는 사람들이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입니다.
사용자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앱을 사용할 때 마주하는 디자인, 레이아웃 등 직접 눈으로 보이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 안에는 폰트, 색, 이미지 등의 디자인적 요소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동작 등의 모든 것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우리가 사물 또는 기계와 의사소통하는 주요 수단입니다.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을 뜻하며,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말합니다. 사용자의 감정, 태도, 인식 등 모든 측면이 포함됩니다. 사용자 중심적으로 설계된 디자인을 말합니다.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를 뜻하는 SEO는 콘텐츠가 각종 검색엔진이 쉽게 노출되도록 웹페이지를 최적화하는 작업입니다.
SEO가 잘 되어있는 웹페이지나 콘텐츠일수록 검색창에 우선적으로 노출됩니다.
A/B 테스트( 분할 테스트 또는 버킷 테스트 )
광고 시안이나 웹 페이지의 요소를 변경하여, 어떤 버전이 더 효과적인지를 평가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어뷰징(Abusing)
부당한 이득을 취하기 위해 불법적인 방법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 결과를 조작해 클릭 수를 늘리는 행위
트래픽의 양에 따라 광고비용을 선정하는 PV(Page View) 산정방식의 허점을 이용해 특정 수익을 챙기는 행위
자사 제품의 홍보 및 광고 효과 등을 위해 의도적으로 작성한 편파적인 리뷰를 작성하는 행위
타사 및 경쟁 업체의 제품을 악의적으로 비방하는 리뷰를 작성하는 행위
'광고매체 1분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즈노트" 광고 상품 1분 요약 (1) | 2025.04.18 |
---|---|
메타광고 1분 요약 (1) | 2025.04.17 |
광고 클릭을 부르는 마법! 배너 광고 A to Z (3) | 2025.04.14 |
네이버 검색광고, 이것만 잘하면 광고비는 줄고 매출은 오릅니다. (0) | 2025.04.10 |
구글 검색광고 1분 정리 : 광고로 트래픽을 끌어오는 비결 (1) | 2025.04.09 |